장소: 노보텔 앰배서더 강남
지난 10월 18일 기업교육 및 컨설팅 교육기관 캐럿글로벌은 이에 대응하여 조직이 인재 개발 전략을 어떻게 조정할 수 있는 내외 전문가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HRD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The Future Talent: AI 압도 시대, 글로벌 인재 육성과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AI가 기업과 조직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오전 Keynote Speech는 언바운드랩 데브 조용민 대표가 맡아, AI의 영향력 증가에 따른 생존 전략과 이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후 세션에서는 Track A와 Track B로 나누어, 각각 '글로벌역량', '리더십/조직개발' 키워드를 바탕으로 발제와 콜로키움이 진행되어 참가자들은 HRDer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었다.

[Opening Remark] 캐럿글로벌 노상충 대표
캐럿글로벌 노상충 대표는 19번째 열리고 있는 HRD 컨퍼런스에 대한 소개와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AI 압도 시대, 글로벌 인재 육성과 리더십’으로 주제를 정한 이유를 설명하며, AI의 존재가 주는 두 가지 감정, ‘경이로움’과 ‘두려움’에 대해서 통찰을 제시했다. 또한, 'AI가 Mind를 가질 수 있을까?' 라는 주제로 철학적인 부분을 언급하며, Mind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노상충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HRDer들이 해당 주제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 보고, 서로의 인사 이트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길 당부하였다.

[Keynote Speech & colloquium] 언바운드랩데브 조용민 대표 'AI 압도 시대, 생존을 위한 인재 전략'
이번 컨퍼런스의 키노트스피치를 맡은 언바운드랩데브의 조용민 대표는 'AI 압도 시대, 생존을 위한 인재 전략'의 주제를 바탕으로 현재 AI를 활용한 기술이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고, HRDer 들이 AI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이어나갔다. 국내 유명 래퍼의 유튜브 알고리즘 사례를 시작으로 HRDer들의 관심을 끌어냈고, 알고리즘을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일러주었다. 이후, 실제 기업에서 AI 교육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소개하며, 업무 내에서 AI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서 강조했다.

조용민 대표는 AI 압도 시대 △Redefined Goal & Redesigned KPI △In-depth Domain Expertise △Level +1 Recog. & Comp. 이 세 가지를 키워드로 정했다. 그중에서도 첫 번째 키 워드 중 Redesigned KPI를 강조했는데, AI를 사업 방향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전략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KPI를 설정하는 것 에 대한 설명에 힘을 주었다. 추가로, HRD의 역할은 비용이 아닌 이익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리며, HRDer의 역할과 책임이 커지고 있음을 설파하였다.
오후에는 Track A의 글로벌 역량, Track B의 리더십/조직개발로 나누어져 각 주제를 바탕으로 한 발제가 이어졌으며, 모더레이터와 함께 '종합콜로키움'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HR Best Practice_글로벌 역량] 포스코 인터내셔널 문제민 차장
포스코인터내셔널 주재원 및 현채인 교육 사례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기존의 무역(트레이딩)을 넘어 철강, 에너 지, 식량, 소재 등 다양한 Biz.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친환경 종합 사업회사이다.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 계에 진출하고 있다. 포스코 인터내셔널의 주재원 교육은 △유관 부서 순환 근무 및 OJT △해외 주재원 부임 후보자 집합 교육 △ 희망자限외국어 교육 지원 : 12주+ OPI 시험 응시로 이뤄진다.
해당 주재원 교육은 주재원의 조기 적응 및 성과 창출을 목적으로 하며 10여 개국 1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다. 주요 내용으로 는 주재원으로서 갖춰야 할 공통 소양 및 기본 지식 그리고 가족대상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글로벌 리더십 역량 강화 △주재 원 공통역량 향상 △회사 현황/제도 이해 △실무 역량 강화 △조직 적응 지원 등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해외 주재 원으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빠른 적응을 돕고 있다.
현채인 교육의 경우, 2개의 트랙을 나눠 계층별, 우수 인재별 △신규입사자 교육 △과장 승진자 교육 △부진 승진자 교육 △Global Talent Development △글로벌 직무 스쿨 △글로벌 P.A.L 프로그램을 각각 제공하며, 실제 사례와 함께 설명을 덧붙였다.
[HRD Best Practice_글로벌역량] GS리테일 백준영 매니저
GS HR 벤치마킹 프로그램
GS리테일 백준영 매니저는 △계열사 HR 간 네트워킹 강화 △맞춤형 벤치마킹 프로그램 제작 필요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기획된 맞춤형 해외 연수 프로그램 GS HR Next Horizon에 대해서 소개했다.
HR Next Horizon 과정은 △사전 학습 (벤치마킹 포인트 사전 그룹 스터디) △본 과정 (실리콘밸리 벤치마킹 탐방) △사후 학습 (현업 적용점 도출 및 공유)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전 학습은 △사전 스터디를 통해 계열사별 주요 이슈/현안을 파악하고, 선진기업 제도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협업/AI Tool Training 을 통해 AI 기반의 일하는 방식을 시도해 보고, 벤치마킹 과정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후, 본 과정에서 △AI 활용 과 People Analytics △다양성과 포용의 문화(DEI) △직무 역량 기반 인재 육성 △벤치마킹 전체 요약을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에 임하는 HR은 리더들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파트너링 하며, 최대한 자율성을 주기 위해 구성원을 ‘어른’이라고 생각하고 지원하였다고 한다. 향후에도 계열사 호스팅 로테이션 방식으로 프로그램 지속 운영 예정이라고 밝혔다.
[HRD Best Practice_리더십/조직개발] 롯데마트 박진구 팀장
롯데마트ㆍ슈퍼 리더십 교육 우수 사례
롯데마트·슈퍼는 전 세계적으로 500여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23년에 롯데마트·슈퍼 팀장/점장/매니저 대상, 약 7차수의 리더십 교육 과정을 진행했다. △리더십 8H △회사 전략 공유 1H △교류의 장의 구성을 통해 3년간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며, ‘팀원과의 1:1에 능숙한 리더 양성’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리더십 교육을 진행했다.
롯데마트 박진구 팀장은 리더십 교육에 대하여 내부 인식 개선을 먼저 착수했다. 기획된 리더십 교육에 대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개념으로 경영진을 설득하고, 교육 지원을 끌어낸 결과 △높은 만족도와 추천도를 기록할 수 있었고 △매출 및 영업 이익 부분에 사업적 성과에 기여했으며 △회사의 제도와 문 화로 정착되어 필수 제공되는 경력개발의 일부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결과를 상세한 사례와 함께 공유해 주었다. 또한, 리더십 교육의 성공 요인으로 △진단 결과와 연계 △수준급 사내 강 사 △최고 경영자의 지원을 강조하며 발제를 마쳤다.
[HRD Best Practice_리더십/조직개발] 하림그룹(주)선진 김진규 팀장(Ph.D)
팀 몰입을 위한 리더십 관점과 직원경험 디자인
하림그룹 ㈜선진 김진규 팀장은 갤럽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 몰입과 조직 몰입에 대한 차이를 비교해 가며 강연을 진행했다. 팀 몰입은 개인이 속한 직무 집단과 직무, 상사와 동료에 대한 애착심과 소속하고자 하는 욕구임을 재확인하며 팀 몰입을 강화하여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인 경험을 설명하였다.
김진규 팀장은 사내 리더십 교육을 통해서 조직 몰입도 중요하나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팀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에 ESI로 조직 몰입을 진단, 팀장 리더십에서는 팀 몰입을 진단하고 있음을 사례로 제시했다.
선진에서 진행되고 있는 팀장 리더십 요인 구성은 크게 △ Performance Management △People Management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Performance Management는 △전략적 의사결정 △리스크 관리 △데이터 포커스로 구성되고 People Management는 △팀원 코칭 △협업 △커뮤니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중장기 전략과제인을 위해 데이터 포커스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People Management의 요인들을 기반으로 한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긍정적 고객 경험은 고객 만족으로 이어지고 고객 행동으로 이어지듯이 긍정적 직원 경험은 직원 만족으로 이어지고 직원 행동 즉, 몰입과 충성도로 이어진다. 직원 경험을 제고하기 위 한 프로그램으로 △신입 공통교육 △온보딩 프로그램 △긍정 마인드 교육 △Read&Lead 워크숍 △긍정 마인드어드밴스드를 제공한다. 해당 교육을 제공하여 우수 인재 이탈을 방지하고 리더의 성찰을 이끌어 내며, 직원 경험을 이끌어 내도록 구 성하였다.
[HRD Best Practice_리더십/조직개발] SKT 박한규 매니저(Ph.D)
역량/리더십 개발을 넘어선 AI 중심의 조직개발 스토리
SKT 박한규 매니저는 조직이 어떻게 AI를 받아들이고 조직적 문화로 받아들이게 되는지에 대한 경험을 설명하였다. 먼저, △AI Powered Competency Development를 위해 AI Literacy 추진 방향을 세우고 주요 과제들을 정리했다. Global AI Co. 달성을 위해, AI를 활용해 보는 수준을 넘어 전 구성원의 AI 인재화 및 AI 기반으로 일하는 문화 정착시키고 AI 역량 육성, 제도/시스템 연계, AI 활용 문화 조성, 구성원 주도형 P/G룰 추진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AI Powered Leadership Development를 위 해 Leadership Pipeline을 작성하고 리더의 AI Literacy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팀장을 지원하는 조직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AI Powered Org. Development를 위해 SK가 진행하는 포럼에 대해 소개하고 Gen-AI 활용 환경 조성에 대해 소개했다. 소개된 포럼은 매년 8월 3-4일간 시대의 변화와 SK의 혁신 그리고 임직원들의 변화관리에 대한 치열한 토의를 진행하는 행사로 5년 전부터 AI,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의 여러 기술 주제 관련 섹션을 개설하여, 사내외·전문가들과 치열한 토의를 거친다. Gen-AI 활용 환경 조성 관련하여 SKT의 생성형 AI 인 SAM과 생성형 AI 작품전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2025 캐럿글로벌 솔루션즈]
오전 세션에서는 김보균 사업총괄 대표가 25년 새로이 론칭된〈2025 캐럿 솔루션즈>를, 이봉진 본부장이 500여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서베이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2024 인적자원개발 실태조사>보고가 진행되어 조직 내 리더십 및 조직개발, 글로벌 교육에 대한 HRDer들의 고민에 해결점을 제시하였다.

글로벌역량 트랙
‘글로벌 역량’ 트랙에서는 민연주 총괄 팀장의 <주재원 육성 우수 사례>를 통해 주재원 교육의 중요성, 주재원 교육의 현실, 캐럿 주재원 통합 솔루션의 특징을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정은 팀장의 <현채인 육성 우수 사례>로 현채인 육성 체계와 특징, 전략적 수행 방안에 대한 사례를 다뤘다. 마지막으로 최종현 총괄팀장의 〈글로벌역 량 프로그램 소개〉를 통해 24년 캐럿글로벌에서 수행한 기업별 글로벌 역량교육의 다양한 사례로 글로벌역량에 대한 다양한 조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더십/조직개발 트랙
'리더십/조직개발’ 트랙에서는 윤승혁 팀장이 <업무 성향 진단 sdi 2.0을 통한 조직개발 사례>를 기업별 도입 배경과 맞춤 사항, 진단을 통해 개선된 조직문화 사항을 상세히 공유하였다. 이어 김종락 센터장이 24년 론칭한 LeadEX 브랜드 소개와 새로이 구성된 < 프로그램 소개>을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리더들 사이에서 부각되고 있는 마인드 및 명상 훈련에 대해 권민희 센터장의 <리더의 의식개발> 발제가 진행되었다.

'The Future Talent: AI 압도 시대, 글로벌 인재 육성과 리더십'을 주제로 진행된 〈제19회 글로벌 역량 강화 HRD Conference 2025〉는 HRDer들이 AI 압도 시대에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고, AI를 통해 어떤 방식의 육성 전략을 선책해야 하며, 사업과 생존을 위해 어떻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캐럿글로벌 유튜브 채널 '캐럿플러스'를 통해 해당 컨퍼런스에서 진행된 강연 영상과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 발제 영상을 업로드 하기 어려운 분들에 한해 사진으로 대체하였습니다.
https://conf2025.carrotglobal.com/download
